2025/05/15 3

핸드드립 커피의 맛을 결정하는 수율과 TDS,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핸드드립 커피는 감성과 기술이 함께 어우러지는 브루잉 방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매번 같은 레시피로 내리는데도 맛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어떤 날은 너무 묽고, 어떤 날은 지나치게 진하거나 쓴맛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 원인은 단순히 감각이나 기분의 차이가 아니라, 수치로 측정 가능한 '추출 수율(Extraction Yield)'과 'TDS(총 용질 농도)'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커피 맛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조절하려면, 이 두 지표를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1. 커피가 밍밍하거나 쓴 이유는 무엇인가?핸드드립 커피가 의도와 다르게 밍밍하거나 지나치게 쓴 경우, 그 이유는 대개 '추출이 부족하거나 과했다'는 데 있다. 즉, 미추출(under-extraction)은 커피의 풍미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

커피&차 2025.05.15

커피 맛 평가의 과학, SCA 커핑 프로토콜의 핵심 이해

커핑(Cupping)은 단순히 커피를 시음하는 행위가 아니다. 이는 커피의 향미, 질감, 산미, 바디, 후미 등 다양한 요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점수화하는 전문적인 절차이다. 특히 스페셜티 커피(Specialty Coffee) 시장에서는 커핑이 커피의 등급을 나누고, 품질을 정의하는 핵심 기준이 된다. 스페셜티 커피 협회(SCA, Specialty Coffee Association)는 이러한 커핑 절차를 표준화해 전 세계 커피 전문가들이 동일한 기준으로 커피를 평가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글에서는 커핑의 전체 절차와 SCA가 제안하는 평가 항목과 기준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커핑의 목적: 왜 하는가?커핑의 목적은 커피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함이다. 로스터는 로스팅 결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

커피&차 2025.05.15

차에도 테루아가 있다: 땅이 향을 바꾸는 차의 과학

“와인에서나 쓰는 말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테루아(Terroir)는 차(茶)의 세계에서도 중요한 개념이다. 테루아란 프랑스어로 ‘땅’을 뜻하며, 기후·토양·지형·해발고도·습도 등 자연 환경의 총합이 작물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이다. 동일한 품종의 찻잎이라도 어떤 지역에서, 어떤 토양에서 자랐는지에 따라 맛과 향이 극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와인 못지않게 섬세한 차의 테루아 개념을 설명하고, 각 지역별 차의 특성 차이를 과학적이고 감각적으로 풀어본다. 진짜 찻잎을 이해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주제다. ● 테루아란 무엇인가? 차에도 적용되는 이유테루아는 본래 와인 생산지에서 사용되던 개념으로, 포도의 품질과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환경의 총체를 뜻한다. 그러..

커피&차 2025.05.15